728x90
SMALL

C# 기초 6

[기초] - 객체지향 프로그래밍(OOP)이란?

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란?  객체 지향 프로그래밍(Object-Oriented Programming)은 객체(Object)를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설계, 개발해 나가는 것을 말한다. 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큰 특징들1. 언어의 사용을 단순화하여 숫자를 객체와 같이 처리2. Collection에 저장 가능3. 박싱/언박싱의 개념을 가지고 있어 숫자를 객체로, 객체를 다시 숫자로 변경가능4. 즉 클래스를 이용해 함수(처리 부분), 변수(데이터 부분)를 하나로 묶어 객체(인스턴스)로 만들어 사용한다.  한줄 요약 -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(Object-Oriented Programming, OOP)은 프로그래밍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추상화 시켜 상태와 행위를 가진 객체로 만들고, 객체들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로직을..

C# 기초 2024.06.04

[기초] - C# 접근제한자 : [private, public, protected..]

접근제한자란 무엇인가? C#에서 접근 제한자(access modifier)는 클래스, 메서드, 필드 또는 속성과 같은 멤버의 외부로부터 접근을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. 이를 통해 코드의 안전성, 유지보수성, 재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.  접근제한자는 클래스, 변수, enum, 함수 앞에 적어주게 되고, 선언된 접근제한자의 영향을 받는다.   접근제한자의 종류 public: 가장 넓은 범위의 접근 제한자로, 해당 멤버는 어디서든 접근할 수 있다. 다른 어셈블리(Assembly)에서도 접근 가능하다.  (아무런 제한을 받지 않고 어느곳에서든 자유롭게 사용 가능하다.)private: 가장 제한적인 접근 제한자로, 해당 멤버는 정의된 클래스 내부에서만 접근할 수 있다. 다른 클래스나 외부에서는 접근할 수 없다...

C# 기초 2024.05.18

[기초] - C# - 메서드

메서드란? 메서드(method)는 객체지향 프로그램(OOP. Object Oriented Programming)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클래스(class) 내부에서 객체의 행위를 표현할 때 사용되며, C/C++ 언어의 함수(function)와 같은 개념이다.   한줄요약 - 함수(Function) = 메서드(Method)   C# 에서 자주보이는 Void란 무엇일까? 유니티(Unity)에서 C# 언어를 사용할 때 void는 메서드(method)의 반환 유형을 나타내는 키워드이며 반환 유형을 가진 메서드는 호출될 때 어떠한 값도 반환하지 않고 단순히 실행된다.  쉽고 간단하게 말하면 Return 즉 반환값이 있냐 없냐의 차이이다.  특정한 값이나 객체를 반환하지 않을 때 - void특정한 값이나 객체를 반환할..

C# 기초 2024.05.10

[기초] - 박싱과, 언박싱에 관하여

C#에서 박싱(boxing)과 언박싱(unboxing)은 값 형식과 참조 형식 간의 변환을 의미한다. 이러한 변환은 성능에 영향을 미치므로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.   박싱 (Boxing) -  값 형식 --> 참조 형식(오브젝트)으로 변환언박싱 (UnBoxing) - 박싱했던 값을 원래 형태로 변환(오브젝트 -> 원래 형태)   박싱과 언박싱이 가능한 이유는 부모가 Object 타입이기 때문에 가능하다.   박싱(Boxing)언박싱(UnBoxing)값 형식(예: int, float, struct 등)을 참조 형식(예: object)으로 변환하는 과정이다.언박싱은 참조 형식에서 값 형식으로의 변환하는 과정이다.값 형식의 데이터를 힙(heap) 메모리에 할당하고, 그것을 참조 형식인 object 변수에 할..

C# 기초 2024.05.03

[기초] - C# 클래스의 메모리 할당(값 ,참조 형식) (Stack, Heap)

C# 에서 데이터를 메모리에 어떻게 저장할까? - C#에서는 값형식(value type)과 참조형식(reference type) 두 가지 유형의 데이터 형식을 사용한다. 이 두 유형은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다루는 방식에 차이가 있다.  값 형식: 값형식은 변수가 실제 값을 보유한다. 변수에 할당된 값 자체가 스택에 할당된다. [값 형식의 데이터 타입] 1. 숫자 데이터 유형 (int, float, double, decimal 등)2. 논리형 (bool)3. 문자 (char)4. 구조체 (struct) 값형식 변수는 스택(stack) 메모리에 저장된다. 스택 메모리는 일반적으로 고정된 크기를 가지며, 변수가 생성 및 소멸할 때 사용된다.   참조 형식: 변수가 값 대신 실제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(주..

C# 기초 2024.04.27

[기초] - C# 생성자와 소멸자

생성자는 객체가 인스턴스화될 때 호출되어 초기화 작업을 수행하고,소멸자는 객체가 메모리에서 해제될 때 호출되어 정리 작업을 수행한다. 생성자 (Constructor) 생성자는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생성될 때 호출되는 특수한 메서드! 생성자 예제 코드 아래와같이 생성자를 생성하고   호출을 해주면   결과        소멸자 (Destructor)  소멸자(종료자)는 객체가 없어질 때 정의하는 메소드이다.소멸자의 이름은 클래스 이름 앞에 ~를 붙여서 정의하고 반환형과 매개변수가 없다.소멸자는 오버로딩 할 수 없으며 직접 호출할 수 없다.   🔴 주의 사항 🔴1. C#에서는 명시적인 소멸자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권장되지 않는다.2. C#의 가비지 컬렉터가 메모리 관리를 담당하므로 보통 개발자가 직접 ..

C# 기초 2024.04.23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