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SMALL

협업, 프로젝트 관리 5

SourceTree와 Git 연결 - [Git 잔디 안심어지는 이유]

깃허브에서 레퍼지토리를 생성하고,소스트리에서도 해당 프로젝트를 연결해줬다. 그런데 프로젝트를 수정하고 소스트리에서 푸시를 했는데 깃에 잔디가 안심어지는 경우가 발생했다.   문제점 - SourceTree로 푸시를 했지만 Git에 잔디가 안심어진다.  나의 문제점 - Git 계정에 등록된 이메일과 Local(SourceTree) 환경의 이메일이 달랐다.  1. Git 이메일 확인하기 Setting -> Emails -> 등록된 메일 확인    2. Local 에서의 이메일 확인하기 해당프로젝트 폴더 -> 터미널 열기 -> 명령어로 이메일 확인하기 명령어 git config --list      해결책  둘의 이메일을 통일시키자. 본인은 회사에서 쓰는 계정이 따로 있기 때문에 해당되는 개인 프로젝트는 Git..

GIt Push, Pull 오류

로컬에서 유니티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원격저장소로 Push , Pull 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생겼다. [파일의 용량이 너무 커서 푸시가 되지 않은 케이스] ※ 유니티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많은 것들이 추가되는데 불필요한 파일들까지 Git에 올려줄 필요가없다. .gitignore 을 추가해서 불필요한 것들은 Push 를 하지 않았다.  해당 상태에서 로컬 프로젝트에 git pull origin 하고 다시 원격저장소로 Push 해주면 된다.(로컬프로젝트 안에 gitignore 을 추가시켜주기 위해)   ※ .gitignore을 추가해도 용량이 너무 커서 푸시가 되지않는 경우이경우에는 git lfs 를 사용해서 Push 해야한다.(50MB부터 Warning을 표시하고 100MB부터 Error가 발생)1. 터미널..

Git에 연동하기(Pull, Push)

지난번에 로컬에서 프로젝트를 생성했으니 그 프로젝트를 Git과 연동시켜주자. 우선 Git 을 왜 사용할까? 지금은 혼자 프로젝트를 관리하고 있지만 회사나, 함께하는 프로젝트에선 혼자 다 작업하지 않는다.여러 분야 직군의 사람들과 협업하기 때문에 각자의 작업물을 Git에 올려 저장소에 저장시킨다고 생각하면 된다. 1.  Git 이 설치되어있는지 확인하자. Terminal 에서 git --version 명령어를 치면 버전을 확인할 수 있다. 2. git 에서 프로젝트를 생성한다.  2 - 1. Repository Name : 프로젝트 이름 설정2 - 2. Public : 모든 사람에게 공개 Privat : 일부에게만 공개(팀원 , 나 자신 등...)2 - 3. 프로젝트 생성Add a Readme file -..

Source Tree (원격 저장소 추가)

Source Tree란? - Git을 좀더 편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Git GUI(Graphic User Interface)를 사용하는 것이다. GUI 툴 중 하나로 SourceTree가 있다. Source Tree의 사용 이유? - 여러 사람들과 협업하기 위해서이다. 소스 저장 및 공유, 버전관리등을 편하게 할 수 있다. 다운로드 및 설치 - https://www.sourcetreeapp.com/ Sourcetree | Free Git GUI for Mac and Windows A Git GUI that offers a visual representation of your repositories. Sourcetree is a free Git client for Windows and Mac. www.so..

728x90